돈버는 노하우/부자들의 생각

부의 추월차선 (feat. 주언규)

Happy스토리리빙해커 2022. 5. 12. 16:43
반응형

엠제이 드마코 '부의 추월차선'

부자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을까? 

 

혹시 절약하면 부자가 될까? 

내가 쓰는 돈 50만원 아끼면 부자가 될까? 

 

절약은 부에 있어 하나의 벽돌에 불과하다. 

벽돌 쌓는다고 부자가 되지는 않는다.  

나는 절약 했는데.. 왜 부자가 안되지? 벽돌을 쌓아서는 부자가 안된다. 

 

다음은 부의 추월차선에서 나오는 피라미드 우화의 내용이다. 

왕이 피라미드를 완성하는 사람에게는 높은 지위와 많은 재물을 준다고 약속을 하였다. 단, 혼자서 피라미드를 완성해야 한다. 아주르는 팔 근육을 키워서 직접 평생동안 피라미드를 쌓다가 결국 실패 하였다. 반면 추마는 1년동안 벽돌을 쌓지않고 기중기를 개발하였다. 추마가 벽돌을 쌓기 시작하고 8년만에 결국 피라미드를 완성하였다. 추마는 높은 지위와 많은 재물을 갖게 되었다. 

 

노력 전 '구조(=기중기)'를 만들어야 한다. 혼자서 피라미드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나는 기중기를 만들고 있는가? 

 

이제는 많은 사람이 부자가 되는 방법을 알고 있다. 스토어 운영, 재개발 투자, 부동산 갭투자 등...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벌었고... 많은 사람이 10억을 돈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과정에 대한 존중이 사라지고 노력은 웃음거리가 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일 뿐.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이야기이다.

실행하지 않으면... 과정이 없으면.. 노력이 없으면 부자가 될 수 없다.

 

현실세계는 나빼고(?) 모두 기중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노력하고 있다. 

 

 

이제 부를 만드는 조건이 달라졌다.

 

누구나 '시스템(=구조, 기중기)'을 가질 수 있다. 아니 갖고 있다. 

 

예전에는 동일한 시스템에서 노력과 노동력의 투입량으로 부를 쌓았다. 

하지만... 이제는 유튜브, 플랫폼 등 모두가 각자의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가질 수 있다. 

 

이제 ... 직장에서 회장, 주주, 윗사람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는 부를 쌓을 수 없다. 그들만 부자로 만들어 줄 뿐이다. 

 

한 사람이 수많은 사람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즉 '영향력'을 키워야 한다. 

 

영향력이 커진 상태. 즉 사업을 하는 측면에서 살펴보자. 

 

이때 절약은 비용 최적화의 과정이다. 개인 차원의 절약은 더하기 이지만 

사업 차원에서의 절약은 곱하기 이다. 

 

단가를 높이는 측면에서

개인(직장인)에게 두자릿 수 연봉 성장은 굉장한 인센티브 이지만 

사업에서 차별화 포인트를 통한 매출증대는 곱하기로 늘어난다. 

 

나만의 돈버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영향력을 키워야 한다. 

 

 

고민해 보자!! 

 

내가 돈을 버는게 월급이니까. 월급이 오르면 부자가 될까? 직장을 더 다니면 부자가 될까? 

이 모든 것은 더하기의 차원의 생각이다.  

 

현실세계는 나 빼고 다 기중기를 가지고 있다. 시스템과 시스템의 싸움이다. 

모두가 추월차선에 있다. 

 

새로운 레벨에서의 추월차선이 생기고 있다. 지속적으로 동력을 얻어서 달려나가야 한다. 

 

 

결국 자신만의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리고 영향력을 키우고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