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사업(상점) 운영/위탁판매 무작정 따라하기

온라인 쇼핑몰 창업을 하려면 갖춰야 할 것(ft. 판다)

Happy스토리리빙해커 2022. 6. 15. 13:50
반응형

온라인 유통을 하려면 갖춰야 할 것 

1. 사업자 

1) 일반과세로 할 것. 경감공제세액이 있어 간이과세자 보다 금전적 이점이 있다. 

   예1. 매출 1억 / 매입 7천 / 기타비용 1천 / 이익 2천 / 부가세 2천 10% 

          경감공제세액이 부가세보다 크다. 내야할 세금이 없다. 

   예2. 실제 계산내역. (표 마지막 란. 예정신고미환급세액이 '0원' 이다.) 

 
 

단, 세금계산서 발행, 부가세신고 등 행정업무가 늘어난다. 

온라인 유통은 95% 이상 신용카드와 현금을 사용한다. 환급을 고려하면 간이과세자가 더 손해이다.

처음부터 일반과세자로 가는 것이 유리하다. 

 

2) 부가 인허가 

- 통신판매업신고, 건강기능식품 판매업 : 받아놔야 한다. 

- 의료기기 판매업, 축산물 판매업 : 내 사업장 주소가 '근린생활시설' 이라면 가능

- 기타 인허가 : 주류는 제조생산 업체만 판매 가능하다. 화장품의 경우 일반판매는 상관없다. 

 

3) 사업자 통장 개설(한도 제한 계좌 해제), 송금수수료 확인, 신용(체크)카드 만들어서 홈택스 등록 

 

2. 팔 상품 

1. 구분 : 제조사 / 유통사 / 초보 판매사 

2. 상품사입, 위탁도매, 구매대행 

* 초보는 국내위탁으로 시작하여 구매대행, 사입판매 순 진행이 좋다. 구매대행 부터 할 경우 짝퉁을 사거나 인허가품목을 모르는 상태로 판매할 경우도 있다. 국내위탁으로 경험을 쌓고 잘 팔리는 것들을 구매대행으로 가져오는 것이 좋다. 

3. 구하는 법 : 유통상가(동대문, 화곡동), 제조사(구글서치, 출고여부 확인), 박람회(3년 > 사이트에서 필터링 > 10~15개 가망업체 선정 > 개막 당일 오후 방문 > 전화번호만 받아오기), 온라인도매(위탁도매) 

 

3. 팔 곳 :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내 자본과 조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곳. 

1) 경쟁이 적고 등록만 해 놓으면 되는 곳 : 티몬, 위메프, 쿠팡, 카카오톡스토어, 인터파크, 롯데온

2) 1일 또는 월간 등록 수량 제한이 있는 곳 : 티몬, 위메프, 쿠팡, 카카오톡스토어, 11번가

3) 주력으로 판매할 곳 : 옥션, 지마켓, 스마트스토어, 11번가

쿠팡은 정산주기가 길어 자본이 확대되면 공략 

 

판매방식 : 1. 대량등록 2. CPC광고 3. 기획전 

1, 2번을 주력으로 하고 자체 아이템이 생기면 3번까지 진행 

1. 대량등록은 확률게임 / 상위 노출과 최신성, 최우수 등급 유지

2. CPC광고 : 옥션 > 지마켓 > 11번가 > 스마트스토어 > 쿠팡 

3. 상품이 생기면 3번 진행  

 

업무준비 

1. 컴퓨터 : 노트북 1대, PC 1대 + 모니터 2개

2. 통신 : 업무용 일반전화, 업무용 휴대전화, 업무용 이메일 

(사업자 단위로 다 새로 만든다. 마켓에서 중복사업자 단속을 함. 단속요소 전화번호, 휴대번호, 이메일주소, 출고지 및 반품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