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mind control

재능보다 중요한 것.

Happy스토리리빙해커 2024. 3. 23. 23:03
반응형

 

국가대표팀 주장, 프리미어 리그 토트넘 홋스퍼의 주장을 맡고 있고 최대 전성기의 손흥민을 보고 있으면 한국의 역대 No1. 선수로 인정하게 된다.

 

특히 그의 어록을 보면 실력과 인성을 겸비한 보기드문 인재라는 것을 알게된다. 

 

"축구를 사랑하고 좋아하지만 다른 사람을 가르칠 능력도 없을뿐더러 직접 공을 차는 순간을 사랑한다. 제가 받은 사랑만큼 되돌려 드릴 수 있는 축구 선수가 되고 싶다. 무엇보다 지금처럼 행복한 축구 선수가 되고 싶다." 

 

"제 인생에서 공짜로 얻은 건 하나도 없었어요. 드리블, 슈팅, 컨디션 유지, 부상 방지 등은 전부 죽어라 노력해서 얻은 결과물이라고 믿어요. 어제값을 치른 대가를 오늘 받고, 내일 받을 대가를 위해서 오늘 먼저 값을 치릅니다. 인생에 후불은 없으니까요."

 

"정신력으로 이겨야 하는 것이 경기의 일부다. 나라를 위해 뛰는데 힘들다는 것은 큰 핑계이다." 

 

"전 시즌의 부상 경험은 나를 강하게 만들었다. 좌절에 발목 잡혀 허우적거리지 않았다. 이를 악물고 치료와 재활에 100%를 쏟아부었다. 빨리 그라운드로 돌아가고 싶다는 일념이었다. 나는 2주 만에 훈련에 복귀할 수 있었다." 

 

 

 

'그릿'은 열정과 집념이 있는 끈기와 투지 그리고 불굴의 의지를 통틀어 의미하는 단어이다.

아주 오랫동안 동일한 상위목표를 유지하는 꺽이지 않는 마음과 유사한 의미이다. 

 

그릿의 저자 앤절라 더크워스는 성취를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성취 = 재능 × 노력²

* 성취 = 기술 × 노력, 기술 = 재능 × 노력

 

재능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이 노력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노력이란 '그릿'을 의미하는 것이다. 열정을 오랫동안 지속하는 것. 실패해도 계속 시도하는 열정과 끈기. 절대 포기하지 않는 마음을 뜻한다. 

 

이러한 그릿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은 4가지가 있다. 바로 관심, 열정, 목적, 희망이다. 

 

손흥민에게서는 이러한 '그릿'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1. 축구에 대한 관심(열정, 의미와 즐거움)

2. 의식적인 연습: 기술 숙달과 성장

3. 목적의식: 본인의 노력이 국가를 위한 것이라는 사명감으로 수고, 좌절과 실망, 고군분투, 희생을 감수

4. 희망적인 자세: 위기에 대처하게 해주는 끈기. 어떠한 역경에도 끄떡없이 나아갈 능력. 

 

괜히 '월드클래스'가 아니다. 

 

투자와 사업을 하는 사람도 '그릿'을 기르는 자세가 중요하다. 

'그릿' 척도

 

나의 그릿 수준은 어느정도 인가? 나는 끈기점수는 좋으나.. 열정 점수가 평균치이다... 끊임없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그릿요소는 열정과 끈기를 포함한다. 1~10항목 까지 다 더한 뒤 10으로 나누면 된다. 열정요소만 확인하고 싶으면 홀수 번호, 끈기요소만 확인하고 싶으면 짝수 번호의 평균을 내면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