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은 감정을 가진 존재이다. 그리고 그 감정이 행동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성이 감정보다 더 중시 되면서 감정은 이성을 방해하거나 열등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중요성이 희석된 것이다.
진화과정에서 정서는 적절한 행동을 위한 생물학적 반응 이었다.
* 생존을 위한 적절한 행동 예) 공포> 벗어나기, 혐오> 치우기 / 사회적 교류를 위한 적절한 행동 예) 상호 관계 정립> 위계질서 확립
감정은 정서를 해석해서 받아들인 느낌(주관적임)이다. 그리고 인간은 이 감정에 따라 1차적인 행동을 한다.
느낌은 인류 진화과정의 빅데이터의 결과이다. 편도체의 1차적 정보 처리결과 이다.(눈, 코, 귀 등에서 보낸 정보를 처리함). 뭔가 '쎄한' 기분이 들면.. 뭔가를 감지했다는 신호일 가능성이 크다. 확인하여 적절한 행동을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평소 가볍게 지나치기 쉬운 정서, 감정, 느낌에 집중해 보면 나에게 중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내가 왜 이런 정서, 감정, 느낌을 받았는지 알아내면 어떤 행동을 해야할지 이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정 이후 이성적 판단이다. 감정을 경시하지 말고 적절하게 잘 활용해야 겠다.
반응형
'H mind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능보다 중요한 것. (0) | 2024.03.23 |
---|---|
할 수 없는 일과 통제할 수 없는 일 (1) | 2024.03.22 |
자기만 아는 주변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도록 만드는 방법. (0) | 2024.03.20 |
타인의 평가. (0) | 2024.03.19 |
비교하기! (1) | 2024.03.18 |